블로그 소개 공지
자세히보기
반응형

하이브리드 12

Mobility
기대에 못 미친 성적, 하이브리드로 대안을 마련할까? KGM의 액티언 하이브리드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KGM의 액티언(J120)은 2024년 8월에 출시했던 모델로서 기존 출시했던 토레스보다 전장과 전폭이 넓은 것이 특징입니다. 쉐보레의 트랙스 크로스오버처럼 패스트백 모양의 쿠페형 디자인에 한국형 건곤감리 디자인 및 패턴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죠. 물론 약간의 거품논란은 있었지만 공개 당시에 사전예약 5만대에 사전계약 14,000대를 기록했다고는 하는데요. 그 뒤로는 판매량이 급감하기 시작하더니 지난 2월에는 고작 355대 팔고 끝났다고 하죠. 외장 디자인은 괜찮아보였습니다만 단조로운 파워트레인이 판매량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토레스보다 커진 차체임에도 가솔린터보 1.5 엔진만 올려지다보니 출력이나 연비 모두 떨어진다는 평이 있었거든요. 반면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Mobility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 2.5 터보 하이브리드 환경부 인증 되었다고 합니다

Jobs5 입니다. 최근 현대자동차의 준대형 SUV 팰리세이드의 2.5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이 환경부 인증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습니다. 환경부 인증 정보 사이트인 켄시스에 의하면 지난 3월 13일에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인증 정보가 공개되었는데요. 오늘은 조만간 출시 예정인 팰리세이드 2.5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팰리세이드 2.5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현대차 그룹에서 새로 개발해서 처음 적용한 것으로 2.5터보 가솔린 엔진에 6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했습니다. 합산 출력이 344마력으로써 과연 이 조합으로 연비가 얼마나 나올 것인지 관심이 몰리고 있습니다. 만약 저공해 자동차 2종을 받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혜택들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서울시 기준 공용 주차장 이용료 5..

Mobility
현대자동차의 준대형 SUV 팰리세이드의 역사와 3세대 팰리세이드LX3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오늘은 현대자동차 맥스크루즈의 후속모델로 등장했던 팰리세이드의 역사와 최근 출시된 3세대 팰리세이드인 LX3의 정보들을 전해드립니다. 1세대(NC, 2013-2019)초기형(2013-2015)싼타페DM의 롱바디 버전이었던 맥스크루즈가 팰리세이드 1세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원은 전장 4,915mm, 전폭 1,885mm, 전고 1,700mm, 휠베이스 2,800mm의 크기로 등장했습니다. 베이스가 되었던 싼타페DM에 비하면 확실히 여유로운 실내를 보여주었죠. 또한 국산SUV 최초로 2열 독립시트를 적용한 모델이기도 했습니다. 싼타페DM을 베이스로 만든 모델이기 때문에 YF쏘나타와 동일한 N1 플랫폼을 사용했고, 파워트레인 역시 싼타페 DM과 동일한 직렬 4기통 2.2L 디..

Mobility
현대자동차의 디 올 뉴 팰리세이드 사전예약 시작! 디자인, 성능, 가격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현대자동차의 준대형 SUV인 ‘디 올 뉴 팰리세이드’가 내년 초 출시를 앞두고 사전예약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완전변경 모델은 디자인부터 성능, 편의사양까지 전반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소비자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앞서 저도 팰리세이드 디자인 예측성 글에 대해 몇 차례 포스팅했던 적이 있는데요. 드디어 이번에 풀체인지된 팰리세이드가 공개되면서 많은 분들의 호응이 괜찮았었죠. 오늘은 내년 초에 출시 예정인 풀체인지된 3세대 팰리세이드에 대하여 정리해서 전해드립니다.함께 읽으면 좋을 글  현대자동차 풀체인지 3세대 팰리세이드 예상도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국산 기술력으로 만든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는 국내에서도 준대형 SUV의 인기가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잘 보여주었..

Mobility
포르쉐에서 공개한 신형 카이엔 터보 E-하이브리드 를 공식 출시했습니다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최근 국내 시장에 포르쉐의 신형 카이엔 터보 E-하이브리드가 공식 출시되었죠. 이 모델은 포르쉐의 SUV 라인업 중 가장 강력한 성능과 향상된 전기 주행 거리를 제공하며, 럭셔리와 퍼포먼스를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는 모델 중 하나인데요. 오늘은 이에 대한 소식들을 정리해서 전해드릴게요! 1. 익스테리어 신형 카이엔 터보 E-하이브리드는 포르쉐의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한 세련되고 역동적인 외관을 자랑합니다. 전면부는 터보 모델 특유의 뚜렷한 스타일링이 적용되어 대형 냉각 공기 흡입구와 빛나는 블랙 에어블레이드가 돋보이는데요. 이러한 디자인 요소는 차량의 퍼포먼스 지향적인 성격을 강조하며, 공기역학적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합니다. 측면에서는 휠 ..

Mobility
현대자동차의 EREV가 도대체 뭐야?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최근 전기차가 뜨거운 감자인듯 합니다. 물론 오너분들에게는 아주 만족도가 높은 차량이긴 하지만, 충전인프라가 아직도 부족하고, 배터리 이슈 때문에 국내에서도 판매량이 주춤한 상태이죠. 무엇보다 배터리 용량과 무게 관계로 주행 가능거리가 길지 않다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런 가운데 주목할만한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현대자동차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개발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주행거리는 1,000km에 육박할 것이고 가격은 기존의 절반 밖에 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에 대해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업계 소식에 의하면 현대자동차는 xEV 시스템 개발 T..

Mobility
이 귀요미 차도 하이브리드로 나온다고? 피아트(Fiat)의 500 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시장이 주춤한 가운데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급부상 중에 있습니다. 저도 수차례 언급한 바 있지만 아직까지 전기차 급속충전 인프라가 부족한데다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성이나 충전시간등의 불편한 요소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상황이 그렇다보니 고객들은 전기차보다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더 선호하고 있고, 이에 걸맞게 주요 제조사도 전기차 개발보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듯 합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피아트(Fiat)도 그중 하나입니다. 스텔란티스 그룹의 피아트는 전동화 전환을 예고한 바 있지만 전기차 선호도가 다소 감소한 만큼 순수 전기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신형 500e에 하이브리드 기술을 더한 내연기관 엔진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오늘은 스텔..

Mobility
2000만원대 하이브리드 SUV가 등장했다고? 2025 아르카나 E-테크 하이브리드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Jobs5입니다. 르노코리아에서 오랜만에 새로운 차량을 공개했습니다. 특히 이번 차량은 르노의 새로운 로장주 엠블럼과 함께 세련된 디자인과 현대적인 느낌을 잘 살린 차량이자 동시에 고성능과 경제성 모두를 갖춘 모델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이 차량의 이름은 국내에서 르노코리아자동차 XM3으로 알려졌던, 그러나 새롭게 사명을 르노코리아로 변경하면서 차명도 아르카나로 변경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기존 XM3가 아르카나로 변경된 셈인데요. 이번에 소개해 드릴 아르카나는 연식변경과 함께 페이스리프트로 돌아온 2025 아르카나 E-테크 하이브리드 SUV 입니다. 오늘은 이에 대한 소식들을 전해드립니다.1. 익스테리어 XM3에서 차명반 변경한 것 같았지만 사실은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로장주 엠블럼과 윤..

Mobility
메르세데스 벤츠의 GLC 350e 4MATIC,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SUV로 태어나다!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20일, 메르세데스 벤츠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GLC 350e를 새롭게 라인업에 추가하고 올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국내에서도 GLC 라인업은 종종 볼 수 있을 정도로 인기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번에 벤츠에서 공개한 GLC 350e 4MATIC 은 터보차저 2.0리터 4기통 엔진에 24.8kWh 배터리, 전기모터 등으로 구성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했습니다. 이를 통해 최대 317마력에 550Nm의 힘을 발휘한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이에 대한 소식을 정리해서 전해드립니다. 메르세데스 벤츠의 새롭게 구성된 파워트레인은 GLC 300 4MATIC 보다 높은 마력과 출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제로백 6.6초이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