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1991년 첫 출시부터 시작해서 이미 오래 전에 단종되었지만 그럼에도 현역으로 활동중인 경상용차 다마스를 아십니까? 오늘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경상용차! 퀵배달 하면 떠오르는 이 차량! 다마스의 역사에 대해 다룹니다.
다마스에 대한 개요
다마스는 '나에게 득이 된다'는 의미의 스페인어 'dar más' 에서 착안되었다고 합니다. 1991년 8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대우자동차 시절부터 라보와 함께 30년간 생산되었던 한국GM의 차였죠. 배기량이 1,000cc 미만이어서 법적으로는 경차에 속하지만 2인승 밴 모델이 화물을 싣기 용이하기 때문에 소규모 자영업자 혹은 화물퀵용 차량으로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다마스 1세대(1991-2003)
다마스의 개발 역사는 198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대우자동차는 일본의 스즈키와 기술 제휴를 맺고 경상용차를 개발하기로 결정합니다. 이에 일본에서 생산되던 스즈키 에브리를 기반으로 한국 실정에 맞춘 모델을 개발하게 됩니다. 이에 1991년 국내 경상용차 시장에 처음 다마스가 등장하게 됩니다. 1991년에 출시될 당시만해도 밴 트림은 426만원이었습니다. 처음에는 0.8L 가솔린 엔진으로 출시했다가 1993년 이후로 LPG 모델이 479만원에 추가됩니다. 국내 최초 경상용차로서 소형 상업용 차량이 거의 전무하던 시절, 국내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해 가기 시작합니다. 이후로 1995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전면부 디자인이 변형됩니다. 원형의 헤드램프가 사각형으로 바뀌고, 이때부터 대우 엠블럼이 장착되었죠.
다마스2(2003-2008)
2003년 7월에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다마스2가 출시됩니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프론트 오버행을 245mm 늘려서 범퍼가 더 커졌고, 이때부터 GM대우 로고가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뉴 다마스(2008-2021)
2007년에 배기가스 기준이 강화되면서 잠시 생산이 중단되었다가 2008년부터 배기가스 기준을 만족시킨 새로운 엔진을 얹은 뉴 다마스가 출시됩니다. 이 모델은 휠캡 디자인이 바뀌고 디지털 방식의 트립컴픁처가 적용된 새로운 계기판이 적용됩니다. GM대우에서 한국GM으로, 그리고 쉐보레로 브랜드 이름이 바뀐 이후에도 다마스와 라보는 워낙 고정 수요가 탄탄하고 인지도가 높아서 한국GM 브랜드로 판매가 지속되었습니다.
다마스의 특징과 장점
다마스는 당시 경상용차 시장의 선구자이자 국내에서 퀵 산업이 발달하던 시기와 맞물려 많은 사랑을 받았던 차입니다. 다마스의 특징과 장점들을 적자면 이렇습니다.
뛰어난 기동성
전장이 3.5m에 전폭이 1.4m 정도로 알뜰한 사이즈로 좁은 골목길에서도 손쉬운 주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도로사정이 좋지 못해서 폭이 좁은 길이 많았는데 다마스는 이에 최적화된 차량이었습니다.
우수한 적재공간과 실용성
소형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2인승 밴 모델의 경우 최대 400kg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영세 자영업자들이 소규모 화물운송을 하기에 제격이었습니다. 그래서 세탁소나 배달, 꽃집 등에서도 많은 활용을 했던 차이기도 합니다.
경제적인 유지비
초창기 다마스는 800cc 엔진을 탑재해서 연비도 좋은 편이었고, 이후로 LPG 모델 역시 가성비가 뛰어났기 때문에 유지비가 경제적이었습니다. 소규모 자영업자들에게 이보다 좋은 차는 없었죠.
다마스의 단종과 그 이후
당시 정부는 2014년부터 제작되는 모든 자동차에 배출가스 자가 진단장치와 ABS, TPMS 의무 장착을 고시하자 한국GM은 그 기준에 부합하는 다마스를 제작하려면 200억원 가량이 들어간다며 다마스와 라보를 단종하기로 발표했습니다. 그 이후로 한국GM과 정부의 수차례 협상이 진행되었지만 결국 2021년 단종절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 뒤로 기아자동차의 레이 밴 모델이 경상용차의 바톤을 이어받습니다만 다마스만큼의 공간활용성을 보여주지는 못했습니다. 다마스는 단종되었지만 여전히 중고차시장에서 다마스는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기아자동차에서 나온 PBV 라인업이 다마스의 역할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도 있긴 합니다만 정확한 것은 출시해봐야 알것 같습니다. 기아자동차의 PBV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이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아자동차에서 준비중인 새로운 PBV차량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기아자동차는 새로운 PBV(목적기반모빌리티) 차량인 PV5의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PV5는 PBV의 장점을 극대화시켜서 기존 카니발 고객들의 유입을 유도하며, 과거 봉고
aboutautomobile.tistory.com
2025년 출시를 앞둔 기아자동차의 PBV모델인 PV5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2025년 양산 예정인 기아자동차 최초의 PBV 모델인 PV5를 통해 기아자동차는 PBV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할 예정입니다. PBV란 목적 기반 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로서 특
aboutautomobile.tistory.com
'Mo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패밀리카의 대명사! 카니발의 역사를 다룹니다! (9) | 2025.03.24 |
---|---|
품격과 안락함의 대명사였던 쌍용자동차의 대형급 SUV 무쏘를 아십니까? 무쏘의 역사에 대해 다룹니다. (8) | 2025.03.21 |
국내 경형 박스카 MPV 시장을 장악하다! 기아자동차의 레이를 소개합니다. 기아자동차 레이의 역사, 제원, 파워트레인 등등 (7) | 2025.03.19 |
대한민국 MPV를 이끌다! HD1000 에서부터 스타리아까지 역사를 살핍니다 (7) | 2025.03.17 |
지금은 단종되어버린 쉐보레의 대표적인 중형 세단 말리부의 역사 (11) | 2025.02.28 |
르노 세닉 E-Tech, 코나보다 저렴하게 625km 주행! 2025년 출시 예정! (13) | 2025.01.31 |
TOYOTA의 프리비아, 전기차로 부활하다! 익스테리어부터 편의기능까지 완벽 정리! (12) | 2025.01.29 |
2025 K8, 완전히 새로워진 디자인과 기능으로 세단 시장을 재정의하다! (16)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