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소개 공지
자세히보기

Mobility

지금은 단종되어버린 쉐보레의 대표적인 중형 세단 말리부의 역사

Jobs5 2025. 2. 28. 05:23
반응형

안녕하세요. Jobs5 입니다. 혹시 여러분들은 쉐보레의 대표적인 중형 세단 말리부를 아십니까? 처음 국내에 등장할 때만 하더라도 여러 경쟁작에 밀려 빛을 발하지 못하다 풀체인지를 거치며 많은 사랑을 받았던 차량이죠. 그러나 짧은 전성기 끝에 결국에는 판매량 부진으로 단종 수순을 밟게 되었던 그 비운의 차. 오늘은 쉐보레의 말리부의 역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래 말리부 차량은 쉐보레 브랜드로 1964년부터 생산된 전륜구동 중형세단입니다. 1세대 모델이 1964년에 출시될만큼 상당히 오래된 브랜드이지만, 중간에 14년간 생산이 중단된 적이 있긴 합니다. 4세대 모델이 1983년에 단종된 이후에 한동안 라인업에 제외되다가 1997년에 말리부의 이름을 다시 부활시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죠. 1983년까지의 말리부는 후륜구동이었으나 1997년 부활이후로는 전륜구동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쏘나타와 기아자동차의 K5, 르노삼성의 SM5로 삼분되었던 중형세단 시장에 쉐보레의 야심작 말리부(8세대)가 뛰어들게 됩니다. 이미 말리부는 전세계적으로 850만대 이상 팔렸던 저력이 있던 차였기 때문인지 쉐보레측은 국내 중형세단 시장에서 말리부가 좋은 입지를 다질 것으로 전망했었습니다. 

 

말리부는 2011년 10월 국내에서 사전예약을 시작했습니다. 앞서 국내시장에서 활약하던 토스카를 단종시키는 대신 글로벌 시장에서 상품성을 인정받은 말리부 8세대 모델을 국내 부평 공장에서 생산 및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의 생산역량을 높이고, 국내 중형 세단 시장에 발빠르게 진입하고자 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말리부는 기대와는 달리 2011년 11월에는 1,554대를, 12월에는 1,333대를 파는 수준에 그쳤고, 다음 해 1월에는 957대를 파는 것에 그쳤습니다. 겨우 연 1만대 정도 수준의 판매량을 이어가던 말리부는 2014년에 디젤 모델을 투입하면서 연간 판매량을 2만대 근접한 수준까지 끌어올리는데 성공하게 되죠. 국내 출시 이후 3년만에 월 판매량이 2480대까지 오르는 등 인기가 본격화되기 시작합니다. 이후로 2014년에는 15만 4,381대를 판매하기도 했죠. 

 

이러던 말리부의 진정한 전성기는 2016년에 찾아옵니다. 9세대 모델 출시와 하이브리드 라인업 추가가 한몫을 했던 것입니다. 신차효과를 누리며 출시한 해에만 3만 6,658대를 판매했죠. 2017년 연간판매량 3만 3,325대까지 효과는 쭉 이어집니다. 그러나 2018년부터 그 인기는 급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하는데요. 2018년 2월 군산공장 폐쇄결정으로 쉐보레의 전차종 판매량이 반토막 나버리게 되었기 때문이죠. 이후로 말리부 아래 차급이던 준중형세단 크루즈가 먼저 단종을 맞게 되었죠.

 

이후 말리부는 같은 해 11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반등을 노렸으나 불안한 경영행보로 빛을 발하지 못했습니다. 2020년에는 국내 소비 트랜드가 세단에서 SUV로 변경되면서 말리부의 연간판매량이 1만대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당시 쉐보레의 준대형 세단 임팔라가 단종되면서 말리부는 졸지에 플래그십 세단의 자리까지 올라갔습니다만, 하락세의 실적을 메꾸긴 역부족이었죠. 쉐보레의 SUV 신차 트레일블레이저가 급부상하긴 했습니다만 말리부는 점점 잊혀지게 됩니다. 이후로 11월, 부평2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국내시장에서 말리부 역시 사라지게 됩니다. 

아마도 쉐보레는 국내 소비 트랜드가 세단에서 SUV로 옮겨지고 있는 것과, 말리부의 판매량 급감과 트레일블레이저의 인기, 그리고 이후로 국내 시장에 공개할 2024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비롯한 많은 SUV 차량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말리부의 단종을 서두른 것 같습니다. 이후로 트레일블레이저에 이은 최고의 가성비 차량으로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통해 브랜드이미지를 회복하고자 노력했었죠. 이 때문인지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국내에서 제법 좋은 실적을 거두었다고 합니다. 

 

이후로도 말리부의 단종을 내심 아쉬워했던 많은 분들께서 가상 렌더링을 공개하며, 만약 말리부가 지속 생산되었더라면 어떤 모습일지를 추측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쉐보레 말리부의 복귀를 기다리는 분들이 있다는 증거겠죠? 그러나 GM은 공식적으로 말리부 복귀에 관한 어떤 언급도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말리부 브랜드가 크로스오버의 형태로 변모할 가능성은 있다고 하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Mobility'의 다른글

  • 현재글 지금은 단종되어버린 쉐보레의 대표적인 중형 세단 말리부의 역사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