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소개 공지
자세히보기
728x90

Mobility 276

Mobility
아우디에서 새롭게 출시한 프리미엄 스포츠 세단 A5 국내 출시

아우디코리아에서 신규 라인업 전략에 맞춘 새로운 세단 모델로서 신형 A5를 국내 출시했습니다. 애매해졌던 A4를 통합흡수한 이번 A5은 차체 크기는 더 커지면서 풍부한 편의사양들로 무장했는데요. 내연기관과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PPC(Premium Platfrom Combustion)플랫폼이 사용되었고, 직관적이면서도 깔끔한 구성의 인터페이스와 역동적인 주행성능, 감성적인 디자인까지 더해지며 기존보다 더 고급스럽고 스포티한 세단으로 거듭났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죠. 오늘은 이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익스테리어신형 A5의 외관을 보면 전면부 그릴이 상하는 짧아지고 가로로 길게 배치되면서 차량이 더 낮고 넓어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주죠. 그릴 가이드 베젤도 삭제되면서 블랙하이그로시와의..

Mobility
폭스바겐의 중국 내수용 저가 브랜드 제타에서 공개한 VS8

최근 폭스바겐의 중국 내수용 저가 브랜드인 제타(Jetta)에서 중국 시장용 신형 SUV VS8을 공개했습니다. 신차를 기다려온 많은 팬들을 위해 제타의 새로운 차량에 대해 티저 캠패인을 시작했습니다만, 이미 이 모델이 중국 산업 정보 기술부를 통해 등록됨에 따라 디자인 전체가 공개된 셈인데요. 오늘은 이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폭스바겐의 중국 내수용 중저가 브랜드 제타(Jetta) 먼저 폭스바겐이 공개한 티저 캠패인을 보시죠. 청록색의 색상이 아주 인상적이며, 전면부 디자인도 상당히 특이합니다. 디자인 면에서는 북미나 유럽 시장 어디에서도 볼 수 없던 독특한 스타일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국 시장에서 제타는 폭스바겐과 FAW의 합작사 아래에서 SUV 전문 독립 브랜드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Mobility
가격은 동결하고 상품성은 끌어올린 2026년형 폴스타4 출시

볼보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Polestar)에서 신규 옵션 추가 및 일부 옵션 가격 인하를 통해 상품성을 강화한 2026 폴스타4를 지난달 공식 출시했습니다. 폴스타4는 쿠페 특유의 날렵한 스타일에 SUV의 공간적 이점을 결합한 전기 퍼포먼스 SUV로 그 탁월한 디자인과 실용성을 인정받아 지난 해 11월 고객 인도 이후로 꾸준한 판매를 통해 그 인기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나 작년 12월 이후 불안한 환율과 시장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폴스타4의 시작 가격을 동결하고 고급 옵션을 선호하는 국내 고객들의 니즈에 맞춰 여러 편의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에 대하여 전해드릴게요! 2026년형 폴스타4 의 변화 폴스타는 이번 2026년형 폴스타4의 시작 가격을 동결하는 강수를 두었습니다. ..

Mobility
럭셔리 전기 SUV의 기준을 새로 쓰다! 2025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드디어 올 것이 왔습니다. 럭셔리 전기 SUV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쓰게 될 바로 이 녀석!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이죠. 처음 출시 정보가 공개된 이후로 5년이 넘게 기다려왔고 현재 6만 4천명에 달하는 예약 대기자 명단은 이 차량에 대한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게 만들어 줍니다. 지금의 '레인지로버' 만큼이나 압도적인 성능에 고급스러움을 담아낼 럭셔리 전기 SUV 라는 기대치가 이러한 뜨거운 관심으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 예상하는데요. 스팩 상으로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G580 EQ가 유일한 경쟁자로 거론되긴 하지만 전문가들은 사실상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경쟁자는 없다고 평가하고 있죠. 오늘은 이 놀라운 차량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레인지로버 DNA를 계승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 JLR은 레인..

Mobility
디펜더를 닮은듯한 견고한 외형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까지? 팡청바오가 공개한 Tai7

뭔가 이곳 저곳을 살펴봐도 익숙한 디자인입니다. 랜드로버의 디펜더를 닮은 것 같기도 하고, 직선 위주의 디자인이 현대자동차의 싼타페를 닮은 것 같기도 하고.. 오늘 소개해 드릴 차량은 BYD의 서브 브랜드인 팡청바오에서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Tai7입니다. 이 차량은 5인승 차량의 중형 SUV로 브랜드 특유의 모던하면서도 견고한 외형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여 도심이나 장거리 운행에도 어울릴 법한 패밀리카라는 점이에요. 오늘은 이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팡청바오 브랜드 팡청바오(方程豹 Fangchengbao)는 BYD 산하 중국의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로서 대표적으로는 Bao5, Bao8, Tai3와 같은 차량들이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BYD의 자회사에는 총 4개의 브랜드가 있습니다. ..

Mobility
현대자동차의 두 번째 N 전기차, 아이오닉 6 N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처음 공개되었을 때 새롭게 바뀐 디자인이 너무나도 강렬했습니다. "어떻게 이런 디자인을 이제야...?"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바로 현대자동차의 두 번째 N 전기차인 '아이오닉 6 N'이었습니다. 이미 아이오닉 5 N으로 고성능 전기차 기술력을 전세계에 보여주었던 현대자동차가 이번에는 더욱 낮고 날렵해진 모습으로 돌아온 아이오닉 6 N의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다시 한번 세계를 놀라게 하였죠. 오늘은 이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익스테리어 새롭게 등장한 아이오닉 6 N은 일반 아이오닉 6 보다 역동적인 느낌이 한층 강조되었는데요. 일반 아이오닉6 보다 좌우 폭이 6cm 늘어나면서 더 낮고 와이드해 보입니다. 또한 하단에 포인트로 넣어준 오렌지 컬러는 고성능 N 모델임을 과시..

Mobility
렉서스가 공개한 자사 브랜드 핵심 중형 세단 2026년형 ES

최근 전세계적으로 세단보다는 SUV나 픽업트럭이 대세가 되어가고 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포기할 수 없는 핵심 세단을 꼽으라면 렉서스의 ES가 있을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렉서스에는 UX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SUV 라인업이 있지만 그럼에도 ES의 판매량은 흔들리지 않고 유지중에 있는데요. 이미 7세대 모델이 출시된지 6년이 지난 시점에서 지난 해 미국에서만 4만대 이상 판매되었다고 하죠. 그만큼 여전히 식지 않는 인기를 잘 보여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가운데 지난 5월에 상하이오토쇼를 통해 풀체인지 ES가 공개되었고, 이후로 2026년형 ES를 공식 출시하였습니다. 앞서 상하이오토쇼를 통해 공개되었던 포스팅은 하단에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구요. 오늘은 2026년형으로 돌아온 렉..

Mobility
기아자동차의 소형 SUV 스토닉의 신형 스파이샷이 공개되다

기아자동차의 스토닉(Stonic)은 2017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자사의 대표적인 전륜구동 소형SUV 입니다. 당시 프라이드 4세대(YB)와 차체를 공유하며 프라이드와의 부품 공유도 상당히 많았다보니 기아 내부에서는 '키 큰 프라이드'라는 별명까지 얻기도 했었다는데요. 그러나 판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는 바로 윗급인 셀토스와 형제차 베뉴 사이에서 판매 부진을 겪다가 2020년에 국내 판매가 중단되었습니다. 사실 이 차량이 단종되었다는 것 조차, 아니 이런 차량이 있었다는 것 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존재감이 약한 차량이기도 했죠. 그런데 최근 신형 스토닉의 스파이샷이 유출되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최근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에서 포착된 페이스리프트 테스트카의 렌더링을 통해 지금과는 전혀 다른 디..

Mobility
전통적인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를 더하다! 1,000km 주행 가능한 대형 SUV, 토요타 랜드크루저 300 하이브리드

강력한 녀석이 등장했습니다. 뭐 물론 익스테리어도 대형 SUV 답게 강력하지만 성능도 강력한 녀석이었는데 심지어 하이브리드로 나온답니다. 더군다나 주행 가능 거리가 1,000km 나 된다고 합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차량은 토요타의 랜드크루저 300 하이브리드인데요. 기존의 랜드크루저를 통해 보여주었던 것처럼,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까지 얹으면서 대형 SUV임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출력과 실용적인 연비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버렸죠. 오늘은 이 차량에 대해 잠시 살펴볼까요?전용 배터리 구조와 연비 효율 중심 설계 이번에 공개된 랜드크루저 300 하이브리드는 후면 하단에 배치된 25.9kWh 배터리와 방수 설계 10단 자동변속기로 구성되었습니다. 복합 연비는 약 10.9km/l이며 ..

반응형